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 계산방법 챙기세요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 계산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꼼꼼하게 챙기세요~!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의무적으로 나가는 돈이 있죠. 바로 국민건강보험료인데요. 젊고 건강한 분들은 건강보험료가 빠져나갈 때 아깝다는 생각을 하실 텐데요. 몸이 아파서 병원에 가게되면 국민건강의 필요성을 알게 되는 것 같습니다.

여러분도 아시겠지만 건강보험은 지역가입과 직장가입 두 가지가 있습니다. 보험료를 비교해 보면 대체적으로 직장가입보다 지역가입의 보험료가 비싼데요. 오늘은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 계산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지역가입자인 분들은 어떻게 건강보험료 계산이 되는지 한번쯤은 살펴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지역건강보험료 계산 방법을 알아보려면 우선 인터넷 포털에서 '국민건강보험공단'을 검색합니다. 그런 다음 메인화면이 나오면 밑으로 화면을 내려줍니다. 여기서 '사이버민원 센터'를 선택하여 들어가시면 되네요. 




상단을 보시면 메뉴가 있는데요. 여기서 '건강보험안내'로 들어가시면 되네요. 세부목록이 나오지만 무시하고 바로 클릭하여 들어가시면 됩니다. 




왼쪽 세부메뉴에서 '보험료'를 선택합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이 지역 가입자와 직장 가입자 보험료 산출 방법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바로 지역 가입자 탭이 보여질 겁니다. 여기서 보험료 산정방법으로 들어가시면 되네요.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 계산방법은 소득, 재산, 자동차 등급별 점수가 있습니다. 이 점수를 모두 합산하여 부과접수당 금액을 곱하게 되는데요. 연 소득 500만원 기준으로 계산 방식이 다릅니다.

이렇게 계산된 보험료에서 장기요양보험료율을 곱하게 되면 노인장기요양보험료가 나오는데요. 건강보험료와 장기요양보험료를 더하면 월보험료가 나오게 됩니다. 






보험료부과점수의 기준을 보시면 소득범위와 재산범위 그리고 연령적용기준이 있습니다. 위 내용을 참고하세요.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 계산을 통해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는데요. 지역가입자는 소득과 재산 그리고 자동차 등 부과요소별로 계산이 되므로 직장가입자보다 비싸게 되네요. 





첫번째 사례로 A직장을 퇴직하고 연소득 500만원 이하인 분들은 위 내용을 참고하시면 이해가 쉬울 것 같습니다. 생활수준 및 경제활동참가율 등급별 점수와 재산등급별 점수 그리고 자동차 등급별 점수를 모두 더합니다. 여기에 점수당 금액(179.6원)을 곱합니다. 





그러면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 149,240원이 나옵니다. 여기서 보험료 요율을 곱하여 장기요양보험료를 계산합니다. 그다음 건강보험료 149,240원 + 장기요양보험료 9,770원 = 159,010원으로 계산이 됩니다. 





두 번째 사례로 A직장을 퇴직하고 연소득 500만원을 초과할 경우 계산 방식입니다. 소득, 재산, 자동차 등급별 점수를 모두 더합니다. 그다음 여기에 점수당 금액 179.6원을 곱하여 건강보험료 160,920원이 나오네요.

여기에 보험료 요율 6.55%를 곱합니다. 그러면 장기요양보험료 10,540원이 나오네요. 건강보험료 160,920원 + 장기요양보험료 10,540원 = 171,460원으로 월 보험료가 계산이 됩니다. 


여기까지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 계산방법을 알려드렸습니다. 직장가입자는 자동차, 각종 재산은 건강보험료에 포함이 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지역가입자가 직장인보다 2배정도 보험료가 비싸네요. 







댓글 없음

Powered by Blogg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