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 대학생전세임대주택 신청방법과 조건

직장을 구하려고 서울로 많이 올라가지만 유명한 대학이 서울 쪽에 많아 신입생들이 올라가기도 합니다. 하지만 알바만으로 서울의 월세를 내는 게 쉽지만은 않습니다. 그래서 대부분 빚을 져서 보증금을 마련해 반지하에 사는 대학생들이 많을 것입니다.

그리고 버티다가 결국 부모님들에게 도움을 요청해서 돈을 받지만 그렇지 못하는 학생분들이 있어 문제가 있을 텐데요. 결국 휴학해버리고 막노동 또는 알바를 해서 월세도 모으고 등록금도 모으는 분들이 곳곳에 있습니다.



제가 다큐랑 비슷한 영상을 보았는데 기차를 타고 강원도에서 서울 쪽으로 통학하시는 분이 있더라고요. 정말 인내심이 필요한 부분이지만 이것도 역시 집 문제 때문인데요. 

그래서 오늘은 정부에서 지원하는 LH 대학생 전세임대주택 신청조건, 신청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려고 합니다. 그럼 지금부터 LH 대학생전세임대주택 신청방법과 조건 포스팅 시작해 볼까요?






LH 전세임대주택이란? 입주자가 주택, 아파트, 오피스텔 등 거주하고 싶은 곳을 골라 LH에서 건물주와 전세 계약을 해서 입주자에게 저렴하게 재임대 해주는 제도입니다. 하지만 이렇게 주택을 전세로 지원하는 제도가 있는지 모르시는 대학생 분들이 많이 있더라고요. 그래서 늦기 전에 빨리 신청해보시길 바랍니다.





하지만 LH 대학생 전세임대주택 신청을 한다고 다 걸리지 않는데요. 바로 위 이미지를 보시면 1, 2, 3순위로 대학생 전세임대주택 신청조건이 자세히 설명되어 있습니다. 1순위를 보시면 생계급여 또는 의료급여 수급자이거나 보호 대상인 한부모가족의 가구대학생 그리고 아동복지시설 퇴소 대학생일 경우 그 순위에 해당이 됩니다. 





그다음으로 2순위를 보면 월평균 소득 50% 이하 또는 소득 100% 이하 장애인 가구의 대학생일 경우 해당이 됩니다. 그리고 3순위는 일반학생을 기준으로 합니다. 순위가 높을수록 임대를 쉽게 받을 수 있겠죠?





LH 대학생 전세임대주택 대상 주택으로는 아까 설명한 것처럼 주택, 아파트, 오피스텔 중 선택하시면 되고, 전용면적이 85㎡ 이하이며, 1인 가구일 경우 60㎡입니다.  

그리고 전세금 지원에 대해 알아보면 대학생일 경우 수도권 8,000만 원, 광역시는 6,000만 원 그리고 기타지역은 5,000만 원까지 지원이 되며 기존 지원되는 금액의 500만원 정도 차이 나네요.






그다음으로 LH 대학생전세임대주택 임대조건을 보시면 한도액 범위 내에 자신이 5% 부담해야 되지만 대학생일 경우에는 저소득층에 해당이 되면 임대보증금을 100만 원 부담하고, 일반학생이면 200만 원을 부담하면 됩니다. 




그리고 월임대료는 전세지원금에서 임대보증금을 제외한 금액으로 저소득층일 경우 연 1~2%이며, 일반학생은 연 2~3% 정도의 돈을 내면 됩니다.





여기까지  LH 대학생 전세임대주택 신청 조건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마지막으로 대학생 전세임대주택 신청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위의 내용을 보시면 대학생일 경우 지원 기관에 직접 신청을 하면 됩니다. 집을 구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대학생들에게 위의 lh 대학생 전세임대주택 정보가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댓글 없음

Powered by Blogg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