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연금 수령액 계산 간단해요

어느 설문조사에 따르면 노인 10명 중 1명만이 노후자금이 충분하다 답을 했다고 하네요. 젊었을 때부터 꾸준히 준비하지 않으면 힘든 게 노후 준비인 것 같습니다. 나이를 먹을수록 노후 준비가 정말 중요하단 생각이 듭니다.

요즘은 늙어서 자식들에게 손 벌리기 싫어 주택연금을 알아보시는 분들이 많이 늘었다고 하네요. 주택연금 수령액이 얼마인지 궁금한 분들을 위해 오늘은 주택연금 수령액 계산 방법에 대해 알아도록 하겠습니다.


주택연금 수령금액 계산해서 수령액 알아봅시다~


주택연금이란 무엇일까요? 내가 살고 있는 주택을 담보를 국가가 보증을 하고 은행에서 매월 연금형태로 받는 금융상품(역모기지론)입니다. 따라서 은행은 가입자가 생을 마감하거나 사전에 약정한 기간이 지나면 해당 주택을 매각하여 대출원금과 이자를 회수하게 되네요. 



주택연금 가입조건 알아봅시다~


부부 중 1명이 만 60세 이상 되어야 하고, 1주택 소유자로 주택은 실거래 9억 원 이하입니다. 그리고 가입주택에 실제로 거주하고 있어야 합니다. 단, 9억 원 초과 2주택자의 경우 3년 이내 비거주 1주택을 처분하는 조건으로 주택연금 가입이 가능합니다. 




보증료 & 대출이자 & 기타 비용
가입자가 납부해야 할 것들 의외로 많아요~


가입비(초기 보증료)는?

주택 가격의 1.5%(대출 상환 방식의 경우 1.0%)를
최초 연금 지급일에 1회 납부합니다. 


연 보증료는?

연 보증료는 매월 납부하게 되는데,
보증잔액의 연 0.75%(대출 상환 방식의 경우 연 1.0%)를
납부합니다.


따라서 연지급 총액은
연금 수령액 + 가입비 + 연 보증료 + 대출이자
이렇게 납부하게 됩니다.



주택연금 대출이자

은행과 협의하여 다음 중 한 가지를 선택합니다.

1. CD(91일 물) 3개월 변동금리
&
2. COFIX(신규취급액 기준) 6개월 변동금리

따라서 적용금리는 "기준 금리(CD 또는 COFIX) + 가산금리"
이렇게 계산합니다. 
(가산금리는 CD는 1.1%, COFIX는 0.85%가 붙게 됩니다.)

정리하면
가입자의 선택에 따라 대출금리는
CD + 1.1% 또는 COFIX + 0.85%
적용됩니다.



주택연금 종료 및 상환

부부 모두 사망, 주택 소유권 상실,
1년 이상 담보주택에 미 거주할 경우 
종료되거나 상환하게 되네요. 




주택연금 장점은?

1. 평생 거주, 평생 지급됩니다. 부부 중 한 분이 돌아가셔도 감액 없이 100% 지급 보장됩니다. 

2. 국가가 보증하므로 중단 위험이 없습니다.

3. 요건 충족시 재산세 25% 감면 혜택이 있습니다.

4. 부부 모두 사망 후 주택을 처분하게 되며, 연금 수령액이 집값을 초과할 경우 상속인에게 청구하지 않으며, 집값이 남으면 상속인에게 돌아갑니다. 




주택연금 단점은?

1. 주택연금은 역모기지론으로 사실상 대출 상품이지요. 이자는 복리 이자로 정산 시 이자가 상당할 수 있습니다.  

2. 평균수명을 기준하여 월 수령액을 단순 합산시 주택 가격보다 낮습니다. 
예를 들어 주택 5억 원, 65세 개시할 경우 월 수령액은 125만 원입니다. 한국인의 평균수명이 약 82세라고 하는데요. 주택연금을 65세부터 개시하여 17년간 주택연금을 수령한다면 가정했을 때 단순 계산 시 2억 5500만 원 정도 되네요. 물론 평생 거주도 무시 못할 조건 중에  하나이긴 합니다. 



3. 가입시점의 건물 금액이 주택연금 기준금액이 되므로 어제 가입했냐에 따라 연금액이 달라집니다. 

4. 가입자가 사망을 하면 금융회사는 주택을 매각하여 자금을 회수하므로 주택은 상속 불가합니다. 

5. 보증료 매년 0.7%를 1/12 하여 매달 납부하게 됩니다.  

6. 리모델링이나 재건축할 경우 기존주택의 멸실로 주택연금을 해지할 경우 수령한 연금액과 이자를 반환하거나 기존주택의 수혜를 받지 못할 수 있습니다. 



주택연금 수령액 월지급금 예시 참고하세요~

종신지급 방식


예를 들어 70세, 3억 원 주택은
매월 919,000원을 수령하게 됩니다. 



노인복지주택의 경우는 70세, 3억 원 주택은  
매월 804,000원을 수령하게 됩니다. 



확정기간 방식


70세, 3억 원 주택 기준으로 10년의 확정기간 방식을 선택할 경우
매월 1,536,000원을 받게 됩니다.



주택연금 수령액 계산 방법 알아봅시다~



주택연금 수령액 계산하기 위해 한국주택금융공사 > 주택연금 > 예상연금조회 순서대로 들어가시면 위와 같이 예상연금조회 화면이 나옵니다. 

지금은 인식이 많이 바뀌어 주택연금에 가입하는 분들이 많이 늘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주택연금도 결국 대출 상품이니 이자와 보증료 잘 따져 보시고 가입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여기까지 주택연금 수령액이 얼마인지 계산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주택연금 수령액 계산 방법에 이어 국민연금 수령 나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대한민국 근로자라면 국민연금에 가입되어 있으실 텐데요. 유용한 정보로 국민연금 수령 나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대부분 만 65세가 되면 일관적으로 국민연금을 수령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52년생 이전은 60세에 수령을 하게 되며, 3년을 구간으로 두어 1살씩 증가되어 수령하게 됩니다. 그래서 69년생 이후 출생 분들은 65세에 노령연금을 받게 됩니다. 

분할연금은 부부가 이혼할 경우 분할연금을 받게 됩니다. 소득이 없어 조기노령연금을 받기 원하는 분들도 계실 텐데요. 아래 표를 보시면 도움이 될 것 같아요. 



조기 노령연금 연령별 감액률


조기노령연금은 1 ~ 5년 먼저 받을 수 있지만 수급 연령에 따라 지급률이 떨어지므로 신중하게 결정하셔야 될 것 같네요. 



노령연금 수급요건 및 급여수준


국민연금에 가입되어 있다고 연금 형태로 받을 수 있는 건 아닙니다. 위 표를 보시면 급여 종류에 따라 수급요건이 자세히 나와 있습니다. 



노령연금 예상 월액 표 알아두세요~


200만 원의 월 급여를 받은 분들은 연금보험료가 18만 원으로 회사반, 본인반 이렇게 매달 납부하실 겁니다. 가입기간 30년이라면 노령연금으로 643,700원을 받게 되네요. 

이렇게 예상 월액 표를 보셔도 되지만 자세한 국민연금 수령액 계산 방법을 위해 국민연금 홈페이지에서 모의계산 방법을 소개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인터넷 포털에서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로 접속하여 오른쪽 상단 메뉴에서 '분야별 정보>노후준비'를 클릭하여 들어갑니다. 




그다음 국민연금 모의계산 메뉴를 클릭합니다. 



해당 계산기에 기본 정보와 소득정보를 입력하시면 되는데요. 오늘쪽에 보시면 예상소득 상승률이 있습니다. 변함없이 동일한 소득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분들은 0을 입력하시면 됩니다. 





그러면 위와 같이 노령 예상 연금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미래가치는 물가 상승률 연 1.3%, 평균 소득 상승률 3.4% 기준으로 산정된 금액으로 월 801,600원으로 확인이 되네요. 

이상 국민연금 수령 나이 및 국민연금 예상 월 수령액 표 그리고 주택연금이 얼마인지 수령액 계산하는 간단한 방법이었습니다. 주택연금 수령액 계산 방법을 참고하여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모두가 부족함 없는 노후가 되셨으면 하네요.  







댓글 없음

Powered by Blogger.